2022. 6. 10.

지난 6월 1일 열린 지방선거에서 국힘당이 압승했다는 분석이 많다. 그런데 과연 국힘당이 민심에 힘입어 승리했다고 할 수 있을까? 광역지자체 등에서 국힘당이 과반을 차지하긴 했지만 내막을 곰곰이 들여다보면 국힘당이 민심의 지지를 받았다고 볼 수는 없을듯하다.

이번 글에서는 두 가지 주제로 관련 내용을 짚어보고자 한다.

 

 

 

 

 

 

과장된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

 

 

 

국힘당이 이번 선거에서 승리했다고 마냥 단정 지을 수 없는 첫 번째 근거는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다.

우선 윤 대통령 취임 직후 조사된 국정운영 기대치는 최근 대통령과 비교해보면 가장 낮다. 5월 13일 한국갤럽 여론조사에 따르면 윤 대통령이 ‘잘할 것’이라고 한 응답은 60%로 조사됐다. 최근 대통령의 취임 직후 국정운영 기대치는 17대 이명박 대통령 79%, 18대 박근혜 대통령 79%, 19대 문재인 대통령 87%로 윤 대통령과 비교해보면 한참 높았다. 이를 보면 윤 대통령을 향한 우리 국민의 기대치가 최근 대통령 3명보다 한참 낮은 수준임이 드러난다.

지난 5월 10일 윤 대통령 취임 이후 여러 여론조사기관에서 쏟아진 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율은 대체로 40%대 후반에서 50%대 초반 수준이었다. 그런데 지방선거 이후에도 윤 대통령의 지지율은 50%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방선거 다음날인 6월 2일 갤럽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윤 대통령이 ‘잘하고 있다’라고 답한 긍정 평가는 53%로 나타났다. 이는 갤럽의 직전 조사 대비 2%P 오른 수치로 지방선거 결과가 윤 대통령 지지율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엿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윤 대통령을 지지한다고 한 응답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유가 없다’는 취지의 응답이 부쩍 눈에 띈다.

6월 2일 갤럽 조사에서는 ‘모름/응답거절’이라는 응답이 21%로 가장 높았다. 이어 ‘소통, 공약 실천’이 2위(9%), ‘결단력/추진력/뚝심’이 3위(6%), ‘대통령 집무실 이전’과 ‘전반적으로 잘한다’가 4위(5%) 순이었다. 

지지는 하지만 지지하는 이유를 모른다는 답변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윤 대통령을 딱히 지지할 이유는 없지만 민주당이 싫어서 그냥 윤 대통령을 지지한다고 답한 것으로 해석하는 게 합리적이다. 따라서 위 조사에서 나온 윤 대통령 지지율 53% 가운데 ‘모름/응답거절’ 21%는 허수일 수 있다. 즉, 국민 100명 가운데 53명이 윤 대통령을 지지한다고 할 때 그 가운데 21%인 약 11명은 진짜 지지자가 아니라는 말이다. 따라서 이들을 제외한 42명만 진짜 지지자라고 한다면 윤 대통령의 실제 지지율은 100명 가운데 42명인 약 42%라는 계산이 나온다. 이는 전통적인 국힘당 지지율에서 크게 늘어난 게 아니다. 즉, 전통적인 국힘당 지지층만 윤석열 정권을 지지할 뿐 지지층 확장이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역대 정권을 돌아보면 보통 취임 초기, 선거 승리 시에는 해당 정권에 민심이 힘을 실어줬다. 하지만 윤석열 정권의 지지율은 취임 초기, 선거 승리라는 역대급 호재가 겹쳤지만 좀처럼 오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취임 초기 다른 대통령의 지지율, 지지하는 이유는 어떻게 나타났을까?

갤럽이 2017년 6월 22일에 문재인 대통령 취임 후 처음 발표한 조사에서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79%로 나타났다. 해당 조사에서 문 대통령을 ‘지지한다’고 한 응답자 가운데 ‘모름/응답거절’이라고 답한 비율은 8%에 그쳤다. 응답자들은 문 대통령을 지지하는 이유로 ‘소통 잘함/국민 공감 노력’을 1위(19%), ‘공약 실천’ ‘인사 잘함’을 공동 2위(9%), ‘추진력/결단력/과감함’ ‘전반적으로 잘한다’ ‘서민 위한 노력/복지 확대’ ‘일자리 창출/비정규직 정규직화’ ‘최선을 다함/열심히 한다’를 공동 3위(6%)로 꼽았다.

윤 대통령은 취임 전부터 ‘선제탄핵’ 논란을 시작으로 온갖 구설수를 자초했고 그 결과 처음부터 국민의 기대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 취임 뒤에도 ‘검찰 독재’, ‘청와대 이전’, ‘주한미군 기지 이전’ 등 논란과 악재가 현재진행형이다.

윤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 추이는 다른 여론조사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6월 6일 리얼미터가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윤 대통령의 6월 1주 지지율은 5월 마지막 주보다 오히려 2%P 떨어졌다. 지방선거 이전 여론조사에서는 ‘국정수행을 잘하고 있다’라는 응답이 54.1%였는데 지방선거 이후에는 52.1%로 오히려 낮아졌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윤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 추이는 훨씬 두드러진다. 위 조사에 따르면 윤 대통령의 지지율은 국힘당이 승리한 대전·세종·충청에서 2.3%P, 부산·울산·경남에서는 7.2%P가 빠졌다. 특히 국힘당의 지지세가 높은 부산·울산·경남에서 지지율이 크게 내려앉았다는 점에 눈길이 쏠린다.

돌이켜보면 윤 대통령이 특히 큰 힘을 실어줬던 ‘윤핵관’ 김은혜 경기도지사 후보는 오히려 낙선했다. 다른 광역지자체에서 이기고도 전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경기도를 놓친 셈이다. 



외연·중도층 확장에 실패한 국힘당



윤 대통령의 지지 기반은 여전히 국힘당 전통 지지층에 머물러 있다. 이는 결국 윤 대통령과 국힘당이 그동안 줄기차게 외연·중도층 확장을 시도해왔지만 실패했다는 것을 뜻한다.

외연·중도층 확장 실패는 국힘당이 이번 선거에서 승리했다고 단정 지을 수 없는 두 번째 이유다.

돌아보면 국힘당은 지난 대선 국면에서 문재인 정부에서 검찰총장을 지낸 윤 대통령을 후보로 영입했다. 박근혜 탄핵 이후 국힘당에 이렇다 할 대선 후보가 없던 상황에서 윤 대통령을 영입해 외연을 확장하려 한 것이다.

그러나 지난 대선에서 윤 대통령은 0.73%라는 간발의 차이로 아슬아슬하게 승리했다. 이대남의 높은 지지를 바탕으로 다른 세대의 지지를 받아 큰 격차로 승리하겠다는 이준석 대표의 세대포위론은 별 효과가 없었다.

이후 지방선거 국면에서도 국힘당은 외연·중도층 확장에 집중했다. 국힘당 지지세가 높은 이대남에 그동안 국힘당의 지지세가 낮던 호남과 중도층의 지지를 더 많이 얻어 승리하겠다는 것이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윤 대통령과 국힘당 지도부는 5·18 광주민중항쟁 42주기에 맞춰 광주에 내려가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는 등 공을 많이 들였다. 

그렇다면 외연·중도층 확장으로 국민의 너른 지지를 받으려 한 국힘당의 전략은 통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국힘당의 전략은 실패했다. 호남의 기초·광역지자체에서 국힘당은 단 한 명의 지자체장 당선자도 내지 못했다. 국힘당은 지난 대선에 뒤이어 이번 지방선거에서도 외연·중도층 확장에 실패했다.

특히 호남에서 광역지자체 후보로 나선 국힘당 후보들은 20%대가 되지 않는 낮은 득표율로 선거를 마쳤다. 각각 이정현 전남도지사 후보는 18.8%, 조배숙 전북도지사 후보는 17.9%, 주기환 광주광역시장 후보는 15.9% 득표에 그쳤다.

‘국힘당 압승’이라는 신기루를 걷어내고 지방선거의 결과를 유심히 들여다봐야 할 때다.



박명훈 주권연구소 연구원